정원치유산업학과
교수진 현황
| 교수명 | 현직 | 전공교과목 |
|---|---|---|
| 허상현 | 정원치유산업학과 교수 | 정원치유캡스톤 및 연구세미나 |
| 유주한 | 정원치유산업학과 교수 | 치류정원 식물학 및 식물재료학, |
| 이혁재 | 정원치유산업학과 교수 | 정원치유학, 정원치유산업과 정책, 정원치유 현장실습 |
| 홍승훈 | 정원치유산업학과 겸임교수 | 치유환경디자인, 정원치유 실증연구방법론 |
| 석미정 | 정원치유산업학과 겸임교수 | 정원문화와 예술치유 |
| 최미영 | 정원치유산업학과 겸임교수 | 지역사회 정원치유 프로젝트 |
교과목 현황
| 학과명 | 개설전공 | 이수구분 | 학점 | 교과목국문명 |
|---|---|---|---|---|
| 정원치유산업학과 | 정원치유산업전공 | 기초 | 3 | 정원치유학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치유환경디자인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정원치유산업과 정책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정원기반 예술·소리명상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정원심리학 및 사회정서이론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치료정원 식물학 및 식물재료학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정원명상 프로그램기획 및 실습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심리진단 및 상담실습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트라우마치유과 자연명상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명상심리워크숍 및 연구세미나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정원기반 심리상담기법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명상 심리학의 이해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정원기반 사회적 처방론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정원치유 실증연구방법론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자연치유와 통합의학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정원문화와 예술치유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스마트가든 및 디지털치유기술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지역사회 정원치유 프로젝트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정원치유 현장실습 | |
| 정원치유산업전공 | 전공 | 3 | 정원치유캡스톤 및 연구세미나 |
교과목 해설
| 과목명 | 내용 |
|---|---|
| 정원치유학 Garden Therapy Studies |
정원치유학은 정원과 자연 환경을 활용하여 심리적·신체적 건강을 회복하고 증진하는 학문이다. 정원 활동을 통한 스트레스 완화와 정서 안정, 사회적 교류 증진을 다룬다. 치유정원의 설계, 운영, 연구 방법론을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Garden Therapy Studies explores how gardens and natural environments promot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It examines stress reduction,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interaction through gardening activities. The course covers design, management, and research methods of therapeutic gardens. |
| 치유환경디자인 Healing Environment Design |
치유적 효과를 고려한 환경디자인 이론과 기법을 학습한다. 물리적 공간, 감각적 요소, 사용자 경험을 통합한 설계를 다룬다. 정원, 병원, 복지시설 등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을 연구한다. This course covers theories and techniques of designing healing environments. It emphasizes physical space, sensory elements, and user experience integration. Applications include gardens, hospitals, and welfare facilities. |
| 정원치유산업과 정책 Garden Therapy Industry and Policy |
정원치유산업의 현황과 발전 가능성을 분석한다. 관련 법·제도, 정책 지원, 산업 구조를 다룬다. 정원치유 분야의 사회적 가치와 정책적 방향을 모색한다. This course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otential of the garden therapy industry. It covers laws, policies, and industrial structures. Students explore the social value and policy directions of garden therapy. |
| 정원기반 예술·소리명상 Garden-Based Art and Sound Meditation |
정원 환경 속에서 예술과 소리를 활용한 명상 기법을 학습한다. 음악, 자연의 소리, 시각예술을 활용한 치유적 체험을 다룬다. 감각적 몰입을 통한 심리적 안정과 치유를 탐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meditation techniques combining art and sound in garden environments. It includes healing experiences through music, natural sounds, and visual arts. Students examine sensory immersion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ealing. |
| 정원심리학 및 사회정서이론 Garden Psychology and Socio-Emotional Theories |
정원과 인간의 심리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사회정서 발달 이론과 정원 환경의 상호작용을 다룬다. 정원의 심리적·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 This course explores the psyc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gardens and humans. It covers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ories and their interaction with garden environments. Students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value of gardens. |
| 치료정원 식물학 및 식물재료학 Therapeutic Garden Botany and Plant Materials |
치료정원에 적합한 식물의 생태적 특성과 효능을 학습한다. 정서적 안정, 공기정화, 치유 효과를 고려한 식물 선택 및 활용법을 다룬다.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식물재료학적 지식을 습득한다. This course examines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ealing functions of plants for therapeutic gardens. It focuses on plant selection and utilization for emotional stability, air purification, and therapeutic effects. Students acquire knowledge of plant materials adaptable to diverse environments. |
| 정원명상 프로그램기획 및 실습 Garden Meditation Program Planning and Practice |
정원을 활용한 명상 프로그램의 기획과 실습을 진행한다. 호흡, 마음챙김, 감각 훈련 등을 정원 환경과 결합한다.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운영 역량을 기른다. Students plan and practice meditation programs in garden settings. Techniques include breathing, mindfulness, and sensory training combined with nature. The course develops skills for implementing programs in real-world contexts. |
| 심리진단 및 상담실습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Counseling Practice |
다양한 심리검사와 평가 기법을 학습하고 실습한다. 상담 장면에서 활용되는 평가와 피드백 방법을 다룬다. 정원기반 상담과 연계된 실제 적용 능력을 기른다. This course trains students in psychological tests and assessment techniques. It focuses on evaluation and feedback in counseling settings. Students apply these methods to garden-based counseling practices. |
| 트라우마치유과 자연명상 Trauma Healing and Nature Meditation |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자연 기반 명상 기법을 학습한다. 심리적 상처 회복과 정서적 안정에 초점을 둔다. 정원과 숲을 활용한 심리치유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nature-based meditation for trauma healing. It focuses on psychological recovery and emotional stability. Students design therapeutic programs using gardens and forests. |
| 명상심리워크숍 및 연구세미나 Meditation Psychology Workshop and Research Seminar |
명상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워크숍과 연구 세미나를 운영한다. 실습과 토론을 통해 명상의 이론과 실제를 심화 학습한다. 연구 발표와 학문적 교류를 통해 역량을 발전시킨다. This course offers workshops and research seminars on meditation psychology. Students deepen their knowledge of theory and practice through exercises and discussions. Research presentations and academic exchanges enhance scholarly competence. |
| 정원기반 심리상담기법 Garden-Based Counseling Techniques |
정원 활동을 매개로 하는 심리상담 기법을 학습한다. 원예치료, 집단정원 프로그램, 개별 상담 기법을 다룬다. 상담 장면에서 정원이 주는 치유적 효과를 실질적으로 적용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counseling techniques that use garden activities as a medium. It includes horticultural therapy, group garden programs, and individual counseling methods. Students learn to apply the therapeutic effects of gardens in counseling sessions. |
| 명상 심리학의 이해 Introduction to Meditation Psychology |
명상의 심리학적 기초와 이론을 학습한다. 집중, 마음챙김, 자기조절 등 심리적 메커니즘을 다룬다. 정원 환경 속 명상과의 연계를 탐구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editation. It covers mechanisms of attention,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Students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meditation and garden environments. |
| 정원기반 사회적 처방론 Garden-Based Social Prescription |
정원을 활용한 사회적 처방의 개념과 실행 방안을 학습한다. 우울, 불안, 고립감 해소 등 사회적 문제 해결에 정원의 역할을 탐구한다. 지역 보건·복지 서비스와 연계된 처방 모델을 다룬다. This course examines the concept and practice of social prescription using gardens. It explores how gardens help address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isolation. Students study prescription models linked to community health and welfare services. |
| 정원치유 실증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Garden Therapy |
정원치유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학습한다. 실험 설계, 설문조사, 통계 분석 등을 다룬다. 정원치유 연구의 학문적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다. This course covers research methodologies for scientifically verifying garden therapy effects. It includes experimental design,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Students ensur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garden therapy research. |
| 자연치유와 통합의학 Nature Healing and Integrative Medicine |
자연치유와 현대 의학의 융합적 접근을 학습한다. 정원, 식물, 자연 요소를 활용한 치유 기법과 임상 적용을 탐구한다. 보완·대체의학과의 연계를 다룬다. This course explores integrative approaches combining nature healing and modern medicine. It covers therapeutic methods using gardens, plants, and natural elements. Students study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 정원문화와 예술치유 Garden Culture and Art Therapy |
정원문화를 기반으로 한 예술치유의 원리와 사례를 탐구한다. 미술, 음악, 설치예술 등을 정원과 접목하여 치유적 경험을 제공한다. 정원과 예술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This course explores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art therapy within garden culture. It integrates visual arts, music, and installations with gardens to provide healing experiences. Students design programs that combine gardens and artistic expression. |
| 스마트가든 및 디지털치유기술 Smart Gardens and Digital Healing Technologies |
ICT와 융합된 스마트가든 기술과 디지털 치유기법을 학습한다. 센서, IoT, AR/VR을 활용한 정원 기반 치유 환경을 다룬다. 미래지향적 정원치유 모델을 설계한다. This course examines smart garden technologies and digital healing methods. It explores sensors, IoT, and AR/VR in garden-based therapeutic environments. Students design future-oriented models of digital healing gardens. |
| 지역사회 정원치유 프로젝트 Community Garden Therapy Projects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정원치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운영한다. 주민 참여, 공동체 회복, 사회적 연대를 주요 목표로 한다. 실습을 통해 현장 적용 능력을 강화한다. Students plan and implement community-based garden therapy projects. The focus is on participation, community recovery, and social solidarity. Field practice strengthens real-world application skills. |
| 정원치유 현장실습 Field Practice in Garden Therapy |
실제 정원치유 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경험을 쌓는다.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기획·운영 능력을 강화한다. 현장 중심의 실무 역량을 종합적으로 배운다. Students gain experience through field practice in garden therapy settings. They participate in various programs to strengthen planning and management skills. The course emphasizes practical, hands-on competencies. |
| 정원치유캡스톤 및 연구세미나 Garden Therapy Capstone and Research Seminar |
정원치유 분야의 종합적인 연구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캡스톤 디자인을 통해 학습 성과를 실제 프로그램으로 구현한다. 연구 세미나를 통해 학문적 성과를 발표·공유한다. This capstone course involves comprehensive research and projects in garden therapy. Students apply their learning outcomes through practical program designs. Research seminars provide opportunities for presentation and scholarly exchan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