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문화산업학과
교수진 현황
| 교수명 | 현직 | 전공교과목 |
|---|---|---|
| 전병길 | 한식문화산업학과 교수 | 외식경영, 외식산업과법 |
| 김영중 | 한식문화산업학과 교수 | 조리 |
| 전현모 | 한식문화산업학과 교수 | 외식산업프로모션실무 |
| 김영준 | 한식문화산업학과 교수 | 프랜차이즈, 메뉴개발 |
| 김은지 | 한식문화산업학과 교수 | 제빵실습, 식문화 |
교과목 현황
| 학과명 | 개설전공 | 이수구분 | 학점 | 교과목국문명 |
|---|---|---|---|---|
| 한식문화산업학과 | 사찰음식전공 | 기초 | 2.0 | 사찰음식의이해 |
| 사찰음식전공 | 기초 | 2.0 | 세계음식문화연구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한식마케팅연구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한식창업사례연구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식품영양과조리원리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식품가공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한국음식문화연구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사찰음식실습Ⅰ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사찰음식실습Ⅱ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사찰음식실습Ⅲ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전통장류실습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한방약선음식실습(치유음식)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사찰음식메뉴개발연구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발효음료제조실습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전통발효음식응용소스개발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발효화학및성분분석 | |
| 사찰음식전공 | 전공 | 2.0 | 식품재료학 |
교과목 해설
| 과목명 | 내용 |
|---|---|
| 사찰음식의이해 Understanding Temple Cuisine |
사찰음식의 유래와 철학적 배경, 불교 계율에 따른 조리법 및 식재료의 특징을 이해한다 Understand the origin, philosophy, and cooking methods of temple cuisine based on Buddhist principles |
| 세계음식문화연구 Global Food Culture Studies |
세계 각국의 전통 음식문화, 식습관, 음식과 종교·사회와의 관계 등을 탐색한다 Explore global food traditions, dietary habits, and the cultural and religious contexts of food. |
| 한식마케팅연구 Korean Cuisine Marketing Studies |
한식의 글로벌화 전략과 마케팅 사례를 중심으로 실효성 있는 홍보방안을 모색한다 Examine globalization strategies and case studies to develop effective marketing plans for Korean cuisine |
| 한식창업사례연구 Case Studies in Korean Cuisine Entrepreneurship |
한식 기반의 국내외 외식 창업 사례를 분석하고, 사업계획서 작성, 상권분석 및 마케팅 전략 이론을 바탕으로 성공 요인을 도출한다 Analyz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od service start-up cases based on Korean cuisine, and identify success factors through business planning, market area analysis, and marketing strategy theory. |
| 식품영양과조리원리 Principles of Food, Nutrition, and Cooking |
식품 성분의 영양적 가치와 조리과정에서의 변화를 이해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도모한다 Understand the nutritional value of food components and their changes during cooking to promote healthy eating |
| 식품가공 Food Processing |
식품의 저장성과 기호성을 높이기 위한 가공기술과 원리를 이해하고, 저장성·안전성·기능성 향상 방안을 학습한다 Learn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food processing to improve shelf life, palatability, safety, and functionality of foods |
| 한국음식문화연구 Studies in Korean Food Culture |
시대별 음식문화의 변천과 사회적 배경을 통해 한국음식의 정체성과 가치를 고찰한다 Investigate the identity and values of Korean food through historical and social perspectives |
| 사찰음식실습Ⅰ Temple Cuisine PracticeⅠ |
사찰음식에 사용되는 기본 식재료의 손질, 조리과정, 담음새의 철학까지 포함한 기초 조리기술을 실습한다 Practice fundamental cooking techniques of temple cuisine, including ingredient preparation, cooking processes, and the philosophy of food presentation |
| 사찰음식실습Ⅱ Temple Cuisine PracticeⅡ |
계절별 식재료를 활용한 조리법을 익히고 조화로운 맛을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Learn to cook seasonal temple dishes and create harmonious flavor |
| 사찰음식실습Ⅲ Temple Cuisine PracticeⅢ |
절기음식과 불교 행사(정월, 백중, 초파일 등)에 사용되는 전통 사찰음식을 조리하고, 응용 능력을 배양한다 Prepare cooking traditional temple dishes for seasonal and Buddhist events such as Jeongwol(New Year), Baekjung, and Buddha’s Birthday, while enhancing creative application skills |
| 전통장류실습 Traditional Jang (Fermented Sauce) Practice |
메주, 된장, 고추장 등 전통 장류의 제조과정을 실습하며 전통식품의 원리를 이해한다 Practice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jang such as doenjang and gochujang, understanding their fermentation principles |
| 한방약선음식실습(치유음식) Herbal Medicinal Cuisine Practice (Healing Foods) |
자연친화적 식재료와 조리법을 활용하여 면역력 강화, 장 건강 증진, 정신 안정에 도움되는 치유음식을 실습하며, 체질과 계절에 맞는 한방약선음식 조리법을 익혀 건강식으로 응용한다 Practice preparing healing foods that enhance immunity, gut health, and mental stability using natural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and apply herbal medicinal cuisine techniques tailored to body types and seasons for health promotion |
| 사찰음식메뉴개발연구 Temple Cuisine Menu Development |
현대인의 기호에 맞춘 사찰음식 메뉴 개발을 통해 실용성과 창의력을 향상시킨다 Develop temple cuisine menus suited to modern tastes, enhancing practicality and creativity |
| 발효음료제조실습 Fermented Beverage Production Practice |
효모와 유산균을 활용한 발효음료의 제조 원리와 실습을 통해 응용 능력을 기르고, 약주, 탁주, 막걸리 등 전통 술의 숙성 기법과 식초 및 음료 제조 실습을 통해 전통 발효음식의 응용 능력을 배양한다 Develop practical skills by learning and practicing the principles of fermented beverage production using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while also cultivating application skills through maturation techniques of traditional liquors (yakju, takju, makgeolli) and the production of vinegar and beverages |
| 전통발효음식응용소스개발 Development of Sauces Using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전통 발효식품의 맛과 기능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응용소스를 개발한다 Develop versatile sauces based on the taste and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 발효화학및성분분석 Fermentation Chemistry and Component Analysis |
발효식품의 화학적 반응과 주요 성분을 과학적으로 분석한다 Scientifically analyze the chemical reactions and major components of fermented foods |
| 식품재료학 Food Materials Science |
식품 원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조리 적합성을 학습한다 Study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ood ingredients and their suitability for cooking |